지역사회 자원활용(생정통계·사업보고서·사회복지기관·학교보건·자원봉사단체·양로원·탁아소·정부기관·지방자치단체) 간호과정(간호목표·간호수행·간호평가·보건간호사업)
유용한 보건자료, 건강 관련 기관, 인적 자원, 사회 자원, 정치 자원은 지역사회 간호사업 수행 시에 고려해야 할 자원들이다.
▣ 지역사회 자원활용
- 유용한 보건자료 : 주로 공공 보건자료로써 관공서의 기록(생정통계, 사업보고서), 병원 및 학교·산업장에서의 결석 및 결근 기록, 간호 잡지나 공중 보건 잡지 등에 수록된 보건 관련 자료 등
- 건강 관련 기관 : 주민들이 접근할 수 있는 건강 관련 기관으로서 우선 의료시설의 종류와 수·이용률·응급 시 의뢰 및 이용 가능한 기관 등을 사정하고 사회복지기관이나 학교보건 관련 기관 등을 사정
- 인적 자원 : 이에는 건강 관련 인력의 종류 및 그들의 태도, 24시간 이용 가능성, 자원봉사단체의 종류나 봉사내용 등을 포함
- 사회 자원 : 건강 관련 기관 이외에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 자원으로써 양로원, 탁아소, 음식점, 휴식공간 등 의식주를 위해 활용 가능한 자원을 포함
- 정치 자원 : 주민의 건강과 안정에 관련된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사립단체, 자원봉사단체 등의 활동과 연계성 등을 사정
▣ 지역사회 간호과정
∴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 자료수집 → 자료 분석 → 지역사회 진단 → 간호목표 설정 → 간호수행 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 재계획의 순서로 진행
◎ 제1단계(사정)
▷ 사정 내용
- 간호 요구의 사정
- 지역 소재 기관의 파악
- 지역사회 자료의 수집
- 자료 요약
▷ 인구집단의 성격 사정 시 요건 : 지역사회 간호의 사정 시 그 지역 인구집단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구의 연령 분포, 성별 분포, 종교 형태 및 분포, 결혼 상태와 교육 정도 등을 알아두어야 함
◎ 제2단계(진단)
▷ 진단의 내용
- 자료 분석 및 지역사회 간호사업의 기준과 지침 확인
- 지역 주민의 건강 요구 파악
- 지역 주민의 건강문제 확인
- 보건사업의 계획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진단의 특징
- 지역사회 진단은 사정과 더불어 지역사회 간호사업 과정의 주요 단계
- 보건간호사업의 내용은 지역사회 진단의 과정을 거쳐 선정하는 것이 좋음
☞ 제3단계(계획) ☜
☞ 제4단계(수행) ☜
☞ 제5단계(평가)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