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업병 특징·유해요인(소음진동, 유해광선, 전리방사선, 이상기압, 기계적손상, 금속분진, 유해가스, 중금속, 유기용제, 살충제, 병원성미생물, 무기분진, 유기분진)·직업병예방대책

by ◐▨※¿┫∮¤Ω 2022. 2. 3.

직업병 특징·물리적 원인(소음과 진동, 유해광선, 전리방사선, 이상 기압, 기계적 손상)·분진 원인(무기 분진, 유기 분진, 금속 분진)·화학적 원인(유해가스, 중금속, 유기용제, 살충제)·생물학적 원인(병원성 미생물)·직업병 예방대책

 

 직업병은 특정의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고유한 환경적 요인이나 작업 자세, 작업 방법 등의 근로조건에 의하여 발생되는 특정의 질병을 말한다.

 

▷ 직업병의 특징

  • 특수한 직업에서 특수하게 발생
  • 예방이 가능
  • 만성의 경과를 거침
  • 특수 검진으로 판정

 

 

 

  •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하기 어려움
  • 노출 시작과 첫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긴 시간적 차이가 있음
  • 많은 직업성 요인이 비직업성 요인에 상승작용을 일으킴
  • 임상 의사가 관심이 적어 이를 간과하거나 직업 이력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어서 질병을 직업병으로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 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신물질이 많아서 그런 신물질로 인한 직업병이 발생하더라도 직업병으로 인정받기 어려움
  • 직업병은 심한 경우 산업재해 보상을 받지만 경미한 경우 산업재해 보상을 받지 못함

 

 

 

 

▷ 작업환경의 유해 요인

  • 물리적 원인 : 작업환경의 온도, 복사열, 소음과 진동, 유해 광선, 전리방사선, 이상 기압, 기계적 손상 등
  • 분진에 의한 원인 : 무기 분진, 유기 분진 및 금속 분진에 의한 폐질환
  • 화학적 원인 : 유해가스, 중금속, 유기용제, 살충제 등
  • 생물학적 원인 : 세군 곰팡이 등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것과 취급하는 동물 또는 식물에 의한 것

 

 

 

 

▷ 직업병의 예방 대책

  • 생산기술 향상 및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안전한 노동환경을 확립
  •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통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관리
  • 이상 소견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대처
  • 개인위생 관리지도
  • 개인 보호구 착용
  • 납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마스크 착용
반응형

댓글